본문 바로가기

자격증/정보보안기사

[네트워크 보안] 아는 것 같은데 물어보면 모를 수 있는 개념

1. 캡슐화

 □ 설명

  - 일반적으로 상위 계층 데이터가 하위 계층으로 보내질 때 발생(ex. 4 Layer → 3 Layer)

  - 하위 계층 프로토콜은 기능 수행을 위한 헤더를 추가

 

2. 역캡슐화

 □ 설명

  - 일반적으로 하위 계층 데이터가 상위 계층으로 보내질 때 발생(ex. 3 Layer → 4 Layer)

  - 상위 계층 프로토콜은 헤더 정보를 확인 및 제거

 

3. 다중화

 □ 설명

  - 하나의 매체를 여러 영역에서 동시 사용(너네 이거 같이 써!)

 

4. 역다중화

 □ 설명

  - 공유하는 기능(매체)로부터 개별 영역으로 분리(너네 이제 따로 써!)

 

5. VLAN

 가. 구분 기준

  □ 네트워크 / 포트 / 프로토콜 / MAC

 나. 사용 이유

  □ 보안 강화(서로 다른 논리적 그룹에 대해 보안 개별 적용 가능)

  □ 성능 향상

 다. Tagging

  □ 패킷이 어떤 VLAN에 속하는 것인지 식별하기 위한 기능 제공

 

6. NAT

 □ 특징 : IP 주소를 바꿔서 나갈 때, 대부분 게이트웨이의 주소를 가지고 나간다고 보면 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