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TCP
가. 개요
1) 연결지향
□ 가상의 연결통로를 통해서 통신하는 방식(가상회선방식)
□ 전송순서보장(순서제어)
□ 스트림 기반의 전송 수행(데이터를 정해진 크기로 전송 X, 임의의 크기로 나누어 연속 전송)
2) 신뢰성
□ 흐름제어 : Window Sliding 방식(수신 측이 받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) 사용
(tcp는 기본적으로 송/수신측 모두 버퍼가 존재)
□ 오류제어 : 오류 혹은 누락 발생 시 재전송 수행
□ 혼잡제어 : 혼잡 정도에 따라 송시낮가 데이터 전송량을 제어
나. 구조
1) 32bit * 6행
2) 1행
Source Port(16bit) | Destination Port(16bit) |
3) 2행
Sequence Number(32bit) |
□ Sequence Number : 전송하는 데이터의 시작 바이트 순서 번호
4) 3행
ACK Number(32bit) |
□ ACK Number : 상대방이 다음에 전송해야 할 순서번호
5) 4행
HLEN(4bit) | Reserved(6bit) | Controlbit(6bit) | Window Size(16bit) |
□ HLEN : 헤더 길이. 기본 20Byte / 옵션 헤더 최대 40Byte
□ Reserved : 예약 (사용 X)
□ Control Bit : U(URG) , A(ACK) , P(PSH) , R(RST) , S(SYN) , F(FIN)
□ Window Size : 수신 측이 송신 측에 보내는 수신 버퍼의 여유 공간
6) 5행
CheckSum(16bit) | Urgent Pointer(16bit) |
7) 6행
Options(32bit) |
다. 분할 및 재조립
□ MSS(Maximum Segment Size)
- TCP Segment Data 부의 최대 바이트수
- MSS = " MTU - IP Header - TCP Header "
- 상위계층(Application) 에서 넘어온 데이터를 MSS 에 맞게 분할
'자격증 > 정보보안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 보안] UDP (0) | 2022.08.04 |
---|---|
[네트워크 보안] 데이터 연결 과정 주요 내용 (0) | 2022.08.04 |
[네트워크 보안] ICMP 프로토콜 (0) | 2022.08.03 |
[네트워크 보안] IP 프로토콜 (0) | 2022.08.03 |
[네트워크 보안] ARP, RARP 프로토콜 (0) | 2022.08.03 |